환경전문공사

엔코아네트웍스는 다양한 노하우를 겸비한 전문가들과 함께 합니다.

수질방지시설공사

• 물리화학적 처리시설 EPC

- 난분해성 물질 처리(오존산화, 펜톤산화 등)
- 중금속 처리 (중화침전, 황화물 침전, 옥살레이트 등)
- 물리화학적 처리시설 진단


• 고속응집침전 장치


• 유수분리시설

• 생물학적 처리시설 EPC

- 활성슬러지 공정
- 탈질공정(MLE, Bardenpho 공정 등)



• 증발농축시설

- 베올리아 코리아와 한국 agency 계약 체결
- 베올리아 증발농축설비인 EVALED®의 판매 및 시공







•필터프레스

- 세계 최대 탈수기제조사인 Jingjin Equipment와 한국 agency 계약을 체결
- Membrane Filter Press(고압), Recessed Filter Press(저압), 관련 악세사리 판매 및 시공
- Cake dryer, Cake 분쇄기, 내부식성 교반기, Cake conveyor, Screw conveyor, 고분자응집제 용해장치 등





• 필터프레스 부대설비



• 여과포 생산공정



• 부속 생산공정



• 여과판 생산공정



• 대형 필터프레스



•섬유여과기

- ㈜SSENG과 파트너쉽 계약 체결
- 최소면적, 자동화 (기존 모래여과/Clarifier에 비해 우수한 성능)
- 정수시설의 Clarifier 대체(부지 최소화), 폐수처리시설의 모래여과(Sand Filter) 대체



• 추진배경 / 화학사고 발생원인 및 대응 현황

• 추진배경 / 국내 유해화학물질 관련법의 강화(화학사고 분야)

  기존 개정
화학사고 대비 - 인체 및 환경에 위해 우려가 있을 경우 신고 - 모든 화학사고 즉시 신고(환경부)
- 화학사고 대비 특별관리지역 지정·관리(환경부)
화학사고 대응 사고 후 영향 조사(환경부) - 화학사고 신고접수시 사고현장에 현장수습조정관 파견
- 사고 후 사고 원인, 주민 건강, 환경영향 조사
- 사고원인지에 대해 사고 피해 최소화를 위한 복구·제거 등 조치 명령
화학물질 관리 - 유독물 수입신고 등 관리(지자체)
- 4년마다 유통량 조사(환경부)
- 유독물 분류표시(환경부)
- 유독물질 수입신고 등 관리(환경부)
- 2년마다 유통통계 관리(환경부)
- 허가물질 취급관리(환경부)
- 유해화학물질 운반계획서 제출 및 확인통보(환경부)

• 추진배경 / 유해화학물질 누출사고 사례(초기대응 미흡)

• 연구개요 / 국내사례(국내현황 및 현 기술개발의 한계)

• 연구개요 / 국내사례(국내 화학사고 우수 대응사례(ECN : 이동식 중화장치))

• 연구개발 특성

• 환경적 측면

· 화학사고로 인한 작업장 내·외 유·누출 된 유해화학물질의 외부 확산률을 최소화

· 신속한 포집·처리로 인한 유해화학물질로 인한 2차 피해 확산 방지


• 경제적 측면

· 유해화학물질 유·누출로 인한작업손실 최소화 및 화학물질처리비용 절감효과

· 화학사고 피해지역 피해 복구 기간 단축 및 재산·인재 상 피해 최소화로 비용측면 감소


• 기술적 측면

· 유·누출 현장 직접 적용 운용이 가능한 응급배기장치 개발

· 유해화학물질 취급업체의 담당자 교육을 통해 사고 발생 시 최적의 초기대응 가능

· 유·누출된 유해화학물질에 따른 포집·처리 모듈변환 가능


• 연구개발 특성

• 관련기술 보유현황(2) / 유해화학물질 누출사고 사례(우수대응)

• ㈜엔코아네트웍스 - DONALDSON 기술제휴

• DONALDSON BAG FILTER

1. 파워코어 PowerCore®

Donaldson의 독자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개발된 벌집 모양 구조의 필터미디어로서 매우 compact하여 공간 활용에 매우 적합합니다. 엔진 에어클리너, 집진기 필터, 가스터빈 시스템 드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습니다.

2. Synteq® XP

균일한 합성 섬유 구조로 포집율은 물론 긴 수명을 자랑합니다. 미세한 오염 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더 제거하는 1인 2역의 활약을 하는 신소재입니다.

3. 울트라 웹 UltraWeb®

셀룰로오스 기재에 나노섬유 기술을 구사한 필터층(울트라웹)을 겹쳐서 오염물질이 필터 표면 보수 내부에 미세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합니다. 엔진 및 집진기 필터에 사용됩니다.

4. 테트라 텍스 멤브레인 Tetratex®Membranes

PTFE(폴리 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)을 특수 연신 가공하여 극히 미세한 다공질체를 가진 테트라텍스 멤브레인을 형성하고 있습니다. 다양한 소재에 라미네이트 가공하여 고사양 기능을 가진 직물을 제공합니다.

재래식 백필터
여과면적 : 1.51m2 / 1ea (158∮ x 3,085L 기준)
Ultra Web 처리 필터
여과면적 (UltraWeb 기준)
- DFO : 17.4m2 / 1ea
- DFE : 23.6m2 / 1ea

개당 11~16개의 재래식 백튜브 대체함
Depth Filtration(심층여과)
· 먼지 CAKE 형태에 따라서 여과 효율이 달라짐
· 먼지 CAKE가 공기 흐름을 방해함.
· 먼지 CAKE을 탈지하기 위해 높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며, 그에 따라 여과포의 기계적 피로도가 높아짐.
· 미세 먼지들이 여과포 내부로 침투하여 마모를 야기함.
· 여과의 BILNDING 현상을 일으킴 - 높은 차압이 일어나게 됨.

Surface Filtration(표면여과)
· MEMBRANE자체가 1차 먼지 CAKE의 역할을 하게 되며 먼지로 인한 1차 코팅이 필요하지 않음.
· 미세 먼지가 여과포 내부를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.
· 먼지 CAKE가 형성되는 것을 막기 때문에 표면 탈 분진을 위한 에너지 사용과 여과포의 기계적 물성의 피로도가 낮음.
· 탈분진 효율을 높으며 그에 따라서 일관된 공기 흐름을 보임.
· 먼지 CAKE의 탈 분진 효과가 매우 좋음- 낮은 차압 효과
CHEMICAL RESISTANCE
Acid Alkali
PTPE
Poypropylene
PPS
Fiberglass
Polymide
P84
Aramid(Nomex)
Acrylic
Polyester
Excellent
Excellent
Excellent
Good-Very Good
Good
Fair
Fair
Good-Excellent
Fair
Excellent
Excellent
Excellent
Fair
Fair
Fair
Good
Fair-Good
Fair

• 기존 BAG FILTER VS DONALDSON BAG FILTER

구분 재래식 BAG FILTER DONALDSON
(DOWNFLO Evolution)
DONALDSON
PowerCore Seires (VH Serious)
구조
FILTER BAG

BAG CASE
- Round Type : (150~200)ø*(2~5m)L
- BAG CAGE 분리형
- 좁은 여과면적
- Cartridge Type : 353*353*660L
- 별도의 BAG CAGE가 없는 구조
- 넓은 여과면적
- Cartridge Type : 922*569*135L
- 별도의 BAG CAGE가 없는 구조
- 넓은 여과면적
기타비교
기류 설계 방식 - 상향기류방식 (Up Stream)
- Filter Bag 표면에서 탈진된 미세분진이 상향기류에 의해 하부 Hooper로 낙하하지 않고 재비산하여 Filter Bag에 재부착
- 압력손실 증가 → 잦은 탈진 필요
- 탈진용 압축공기 소모량 증가
- 잦은 탈진에 의해 Filter Bag 수명 감소
- 잦은 탈진에 의해 집진효율 저하
- 압력손실 증가로 인해 고정압 Fan 필요
- Fan Motor 용량 상승 및 전력비 상승

집진시설 성능이 낮고, 운전비용 높음
- 하향기류방식 (Down Stream)
- Filter Bag 표면에서 탈진된 미세분진이 하향기류에 의해 하부 Hooper로 낙하하게되어 재비산되지 않으므로 재부착 적음
- 압력손실 낮음 → 잦은 탈진 불필요
- 탈진용 압축공기 소모량 저감
- 탈진횟수가 적어 Filter Bag 수명 증가
- 탈진횟수가 적어 집진효율 유지
- 압력손실이 낮아 저정압 Fan 사용 가능
- 저용량 Fan Motor 사용 및 전력비 저감

집진시설 성능이 우수하고, 운전비용 낮음
- 무 회전 방식 (Zero Turn)
- Filter 표면에서 탈진된 미세분진이 탈진력에 의해 주위 필터에 부착되지 않고 Hooper로 낙하하게 되어 재부착 없음
- 압력손실 낮음 → 잦은 탈진 불필요
- 탈진용 압축공기 소모량 저감
- 탈진횟수가 적어 Filter Bag 수명 증가
- 탈진횟수가 적어 집진효율 유지
- 압력손실이 낮아 저정압 Fan 사용 가능
- 저용량 Fan Motor 사용 및 전력비 저감

집진시설 성능이 우수하고, 운전비용 낮음
FILTER BAG
재질
- Fabric Filter Bag
- Needle Felt
- 큰 기공(Pore Size)
- 굵은 섬유사
- 내면 여과방식
- 높은 압력손실
- 낮은 집진효율
- 짧은 Filter 수명
- Nano-fiber Coated Cartridge Filter Clement
- Nano-fiber UW Coated Filter
- 작은 기공
- 얇은 섬유사
- 외면 여과방식
- 낮은 압력손실
- 높은 집진효율(99.99% 이상 @0.2um)
- 긴 Filter 수명
FILTER BAG
취부방식

점검보수
용이성
- 수직 배열 구조
- 많은 설치공간 필요
- 점검/보수 복잡

- 크고 무거운 상품 Cover 분해/이동 후 작업
- Cover 개방에 공구 필요
- 공구를 이용해 Blow Tube 해체 후 작업
- 긴 FILTER BAG & CAGE를 상부로 교체
- 상부 높이 제한시 FILTER BAG 교체 불가능
- FILTER 교체 작업시 Cleam Side 오염
- Cover 규격이 커서 Sela 문제로 누기/누수 우려 높음
- 수평배열구조
- 작은 설치공간 필요
- 점검/보수 간단

- 작고 가벼운 전면 Door 개방 후 작업
- Door 개방에 공구 불필요
- Blow Tube 해체 필요없이 작업
- 짧은(0.66m) Filter Element를 전면으로 교체
- 상부 높이와 관계없음
- Filter Element 교체시 Clean Side 오염 없음
- Door Sealing 완벽
- 수평배열구조
- 작은 설치공간 필요
- 점검/보수 간단

- 작고 가벼운 전면 Door 개방 후 작업
- Door 개방에 공구 불필요
- Blow Tube 해체 필요없이 작업
- 짧은(0.67m) Filter Element를 전면으로 교체
- 상부 높이와 관계없음
- Filter Element 교체시 Clean Side 오염 없음
- Door Sealing 완벽
FILTER BAG
수명
- 짧음(0.3~1.5년) - 재래식 Filter의 2배 이상 (1~3년)
PILSE
CONT
ROLLER
- 일반 Timer
- △P Control 기능 없음
(△P 제어 불가능)
- Timer에 의한 탈진
- 불필요한 탈진 발생
- 집진효율 감소
- 압축공기 소모량 증가
- Filter 수명 감소
- △P Control with Timer
- △P Control 기능 공급
(△P 일정)
- Dust 농도에 따른 차압에 따라 탈진 자동 조절
- 최적의 탈진 작용
- 고효율 집진 유지
- 압축공기 소모량 저감
- Filter 수명 연장
압력손실
(△P)
- 조건에 따라 변환 (Timer 운전)
- 유입 Dust 농도 증가시 △P 증가
- 유입 Dust 농도 감소시 △P 감소
- 압력손실 큼 → FAN 정압 큼 → Fan Motor 용량 큼 → 전력비 높음
- 상향기류방식으로 탈진효율 낮음
- 탈진효율이 낮은 내면여과방식의 Filter Media 사용
- 일정 (△P Control)
- 유입 Dust 농도에 따라 탈진작용을 자동 조절
- 일정한 △P 유지
- 압력손실 적음 → FAN 정압 낮음 → Fan Motor 용량 작음 → 전력비 낮음
- 일정 (△P Control)
- 유입 Dust 농도에 따라 탈진작용을 자동 조절
- 일정한 △P 유지
- 압력손실 적음 → FAN 정압 낮음 → Fan Motor 용량 작음 → 전력비 낮음
- 일정 (△P Control)
- 유입 Dust 농도에 따라 탈진작용을 자동 조절
- 일정한 △P 유지
- 압력손실 적음 → FAN 정압 낮음 → Fan Motor 용량 작음 → 전력비 낮음
탈진 효율
- 탈진효율 낮음
- 단순 경험에 의한 설계 및 제작
- 긴 Filter Bag 전표면에 일정한 압축공기 공급 어려움
- 상향기류방식으로 탈진효율 낮음
- 탈진효율이 낮은 내면여과방식의 Filter Media 사용
- 탈진효율 높음
- CFD 및 시험에 의한 최적 탈진 System
- 짧은 Filter Bag 전표면에 일정한 압축공기 공급
- 하향기류방식으로 탈진효율 높음
- 탈진효율이 높은 Nano-fiber Coated Filter Media 사용
집진 효율 - 고효율 집진 어려움
- 집진 효율이 낮은 Filter Media
- 잦은 Pulse Dust 배출량 증가
- 상향기류방식으로 탈진횟수가 많아 고효율 집진 어려움
- 고효율 집진 유지 가능
- 집진 효율이 높은 Nano-fiber Coated Filter Media 사용
- 불필요한 탈진이 없는 △P Control에 의해 고효율 집진 유지
- 하향기류방식으로 탈진횟수를 줄여 고효율 집진 유지
압축공기
소모량
- 많은 양 소요
- Timer에 의한 연속 탈진
- 탈진 효율이 낮은 상향기류방식
- 탈진 효율이 낮은 Filter Media
- 적은 양 소요
- △P Control - 탈진 효율이 높은 하향기류방식
- 탈진 효율이 높은 Nano-fiber Coated Filter Media 사용
점유면적 - 넓은 면적 필요
- Housing 규격 큼(Tube형 Filter를 수직 배열)
- 넓은 B/F Outlet Duct 설치공간 필요(B/F 상부 Outlet에서 하루 Fan Inlet으로의 연결을 위해 여러 개의 Elbow 필요)
- Compact한 구조로 40%이하 30%수준
- Housing 규격 작음(Cartridge Filter를 수평 배열함)
- 작은 B/F Outlet Duct 설치공간 필요(B/F 하부 Outlet에서 하루 Fan Inlet으로 직접 연결)
설치/이설
용이성
- 대형 구조물로 설치 난해
- 이설 난해
- Compact한 구조로 Block 구조로 설치 간단
- 이설 용이
도장 성능 - 일반 도장
- 도장 성능 낮음
- Texture 도장
- 도장 성능 우수
신뢰성 - 주문제작 형태로 수주여건에 따라 변화 - 자동생산설비에 의해 품질 일정
- 80여년 역사와 전세계 30만대 이상
공급된 높은 신뢰성
경제성 - FILTER BAG 교체주기 짧음
- 도장 성능 낮음
- 압축공기 소모량 큼
- 유지관리 복잡
- 송풍기 동력비 높음
- 집진 성능 낮음(배출농도/양에 따른 기본 부과금 및 총량규제)
- 부지활용도 낮음(부지=경제성)
- FILTER BAG 교체주기 2배 이상
- 도장 성능 높음
- 압축공기 소모량 절감
- 유지관리 간단
- 송풍기 동력비 절감(낮은 압력손실)
- 집진 성능 높음(배출농도/양에 따른 기본 부과금 및 총량규제)
- 부지활용도 높음(부지=경제성)

• DONALDSON 집진기 종류

1. DFE(Downflo Evolution)

- Donaldson Module 형 중대형 집진기
- Cartridge 당 23㎡ 및 최대 3,000㎡ 집진여과면적
- Compact한 디자인(설치공간 효율 극대화)
- Ultra-Web Filter Media 0.5 마이크론에서 99.999%
효율 및 분진별 12종 Filter media 선택 적용
- Filter의 긴 수명 및 고효율 집진
- 하향기류방식의 고효율 집진
- 차압운전 방식(동력 소비 절감)

2. DFO(Downflo Oval)

- Donaldson Oval형 Cartridge 집진기
- 용량에 따른 21가지 모델 선택
- Cartridge 당 17㎡ 및 최대 3,000㎡ 집진여과면적
- 여지 여과 속도 증대 (Compact한 디자인)
- Ultra-Web Filter Media 0.5 마이크론에서 99.999%
효율 및 분진별 12종 Filter media 선택 적용
- Filter의 긴 수명 및 고효율 집진
- 하향기류방식의 고효율 집진
- 차압운전 방식(동력 소비 절감)

3. VH Series

- 기존의 백필터 장비에 비해 70%이상
적은 설치용량
- 전면으로의 Filter 교체
- 적은 Filter 수량
- 필터 교체시 공구 불필요

4. CP Series

- 기존의 백필터 장비에 비해 70% 이상
적은 설치용량
- Insertable Type(컨베이어, Silo 등에 Direct 설치)
(설치비용 절감 및 설치 부지 절약)
- 전면으로의 Filter 교체
- 적은 Filter 수량
- 필터 교체시 공구 불필요

• 경제적/환경적 효과

  재래식 DFE 모델 기준
본체 투자비 100 기준 85%
운전 동력비 200mmAq 100mmAq
여포교체 주기 ~ 2년 ~ 4년
대상공정 특성, 분진, 수분, 온도 등 여러가지 요인에 따라 교체주기를 달라질 수 있음.
여포교체 인력 중장비, 최소 2인 1인
여포가격 45,000원 * 9EA = 36만원 200,000원 * 1/2회 교체 = 10만원
여포 수명 보증 X 1년간 필터 보증함

※ 현재 대시 환경보전법의 PM-10, PM-2.5 각각의 배출허용 기준에 능동적으로 대처가 가능한 이상적 모델임.